마음이 아리다 애리다 에리다 중 맞는 표현은 간혹 마음이 매우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마음이 아리다 / 애리다 / 에리다'가 있는데요.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은 올바른 맞춤법 표현에 대해 연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마음이 아리다 애리다 에리다 중 맞는 표현은?표준어는 '아리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애리다(에리다)는 모두 아리다의 사투리로 비표준어에 해당합니다. (예) 자꾸만 마음이 아리다 (O)(예) 자꾸만 마음이 애리다 (X) (예) 다리가 자꾸만 아리네 (O)(예) 다리가 자꾸만 애리네 (X) 2. 예시 마음이 아리다는 감정적으로 고통스러울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마음이 아프고 쓰라리며, 슬픔이나 상처가 깊이 남아 있을 때 느껴지는 고통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주로 사랑, 이별, 상실 등과 같은 상황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고.. 2024. 8. 20. 치성 뜻 치성드리다 한국의 무속 신앙에서 종종 치성을 드린다는 표현을 많이 사용합니다. 치성드리다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치성드리다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치성 뜻한자어로 '있는 정성을 다함' 또는 '그렇게 쏟는 정성'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며, 신이나 부처에게 지극한 정성으로 비는 것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2. 한자 致 (이를 치) 치명상할 때의 치입니다. 誠 (정성 성) 정성할 때의 성입니다. 3. 예시자녀가 매우 아프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자꾸만 부모에게 불만만 이야기하고 매우 반항적이며 부모에게 결코 해서는 안 될 행동까지 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병원을 데려갔지만 병원의 의사는 아무런 이상도 없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보통 부모는 미쳐 죽을 지경이지요. 그래서 종교의 힘에.. 2024. 8. 18. 불만을 토로하다 뜻 일상에서 불만이나 답답함 등 안 좋은 감정 상태와 자주 어울리는 단어 중에 토로가 있습니다. 오늘은 불만을 토로하다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토로하다 뜻마음에 있는 것을 죄다 드러내어서 말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자신의 감정 중에서도 억눌려 있던 생각이나 감정 따위를 속 시원하게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불만을 토로한다는 것은 자신의 불만을 솔직하고 가감 없이 이야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2. 한자吐 (토할 토) 토하다 露 (이슬 로) 이슬 외에도 드러내다 등의 의미가 존재함.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매우 솔직한 감정이나 생각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데 상황과 예시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3. 예시매우 공부를 강조하는 부모님이 있습.. 2024. 8. 16. 약았다 뜻 보통 어른들이 아이에게 참 약았다고 표현하는 것을 들어볼 수가 있습니다. 꼭 어린 아이들에게만 해당되는 표현은 아니고요. 얼마든지 어른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말인데요. 오늘은 약았다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약았다 뜻자신에게만 이롭게 꾀를 부리는 성질이 있음 또는 어려움을 잘 피하는 꾀가 많고 눈치가 빠름이라는 의미입니다. 한국어에서 이 말은 꽤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을 시켜볼 수가 있습니다. 2. 긍정 부정적 뉘앙스자신의 이득을 챙긴다는 뉘앙스면 긍정도 부정도 아닌 느낌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이득만 챙기는 모습으로 비치는 상황에서는 부정적인 시선이 깔려 있습니다. 상황을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3. 예시나이가 10살이나 어린 여성과 소개팅을 한 남성이 있습니다... 2024. 8. 14. 이전 1 2 3 4 5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