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불허득 뜻 우리의 일상에서 정말 이름날 만한 이유나 연유가 있을 때 보통 '명불허전'이라고 하는데요. 이와 비슷한 의미의 사자성어 명불허득이란 게 있습니다. 오늘은 명불허득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명불허득 뜻명성이나 명예 따위가 보람이나 실속이 없이 퍼진 것이 아니란 의미입니다. 명성을 꽁으로 얻은 게 아니란 거죠. 우리나라 양궁은 세계적으로 엄청난 위상을 갖고 있습니다. 그게 거저 얻은 게 아니라, 다 그만한 실력이 있기 때문이었다는 겁니다. 헛되이 얻어지는 것은 없습니다. 다 노력하고 애써야 얻을 수 있는 것이지요.  2. 한자名 (이름 명) 명성의 명입니다.不 (아니 불) 부정하는 한자입니다.虛 (빌 허) 비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공허하다고 하지요. 得 (얻을 득) 득점에서도 사용됩니다. .. 2024. 8. 8.
깔롱하다 뜻 깔롱 한국어라고 해도 우리가 모든 단어를 다 아는 것은 아닙니다. 제주도 여행가서 진짜 제주도 방언을 들으면 하나도 알아들을 수가 없지요. 과연 깔롱하다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깔롱하다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깔롱하다 뜻경상도 사투리로 '멋지다'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친구가 멋을 부리고 나왔을 때 엄청 멋있으면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자기 스타일의 이성을 보았을 때도 쓸 수 있습니다.  부사 등지에서 사용하다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부산 지인이 있어서 들어본 표현입니다.  여기에는 매우 다양한 버전이 있는데요. 2. 예시친구가 매우 멋진 신발을 샀습니다. 요즘 러닝이 대세라서 남자 분들 중에 뛰는 사람은 모두 알파플라이를 갖고 싶어합니다.  그 구하기 힘든 알파플라.. 2024. 8. 6.
시의성 뜻 시의성이 높다 예시 한자 한국어에는 참 어려운 표현이 많습니다. 시의성이 높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시의성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의성 뜻그 당시의 상황이나 사회적 요구에 들어맞는 성질을 가리킵니다. 더 쉬운 말로는 시기가 적절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주제에 대해서 다루는데 현재의 상황이나 사회적으로 대중이 원하는 주제인가라는 의미가 됩니다.   2. 한자時 (때 시) 우리가 어떤 일을 하는 때는 '시기'라고 합니다.宜 (마땅할 의) 사물의 이치에 따라 마땅히라고 할 때 '의당히'라는 말을  씁니다.性 (성품 성) '지속성', '관계성'처럼 어떠한 성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3. 예시1) 정치지금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서 생각을 해볼게요. 위정자들이 나와서 토론을 하는데, '집값 .. 2024. 8. 3.
무모하다 뜻 무모한 사람 특징 무모하다 뜻오늘은 자주 사용하지만 그 의미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는 무모하다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무모하다 뜻앞뒤를 잘 헤아려 깊이 생각하는 신중함이나 계책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사람들이 '무모'라고 하면 털이 없다는 것을 먼저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한자를 잘 알아야 합니다.   2. 한자無 (없을 무) '없다'를 나타냅니다. '무한한'이라고 하면 한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謀 (꾀할 모) 꾀한다는 것입니다.  꾀는 해결 해 내거나 하는, 묘한 생각이나 수단을 나타내는데요.  3. 예시한국사람은 약간 용감한 면이 있습니다. '가즈아'라는 말을 외국인들도 사용하는데 그게 우리나라 사람들을 통해서 배운 것이랍니다.  뭐 하나 잘 된다고 소문이 나면 금방 그거에 뛰어드는 사람.. 2024. 8. 2.